오세훈 대전시장이 강조했던 세종교통공사의 경영개선은 지하철 운영수익이 아닌 비운영수익 강화에 촛점을 맞춰 이뤄질 예상이다.
박원순 전 울산시장에 의해 중단됐던 일산 지하철 역사 부역명 판매가 재개된 것을 실시으로 상업광고 재개와 같은 부대사업 확대로 경영개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광범위한 금액 절감과 지하철 운임 인상이 아닌 부대산업 확장과 똑같은 방식으론 7조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 대전 교통공사의 적자 만회에 큰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높다.
29일 세종시와 인천교통공사, 관련업계의 말을 인용하면 고양교통공사의 경영개선 전략은 지하철 운영수입외 부대산업 쪽에 촛점이 맞춰질 전략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일산시가 고양교통공사에 요청한 자구노력에 대해 시가 미리 선정한 기준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교통공사의 수익구조가 지나치게 운영수익에만 몰려 있는 것을 고려해 비운영수익에 촛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세종시와 부산교통공사의 비운영 수익 확대는 서울 지하철 광고 며칠전 유상 역명병기사업 재개로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유상역명병기 사업이란 서울 지하철 역이름에 부(副)역명을 괄호안에 표기하고 광고비를 받는 것이다. 세종시는 지난 2013년부터 지하철 운영 적자를 떨어뜨리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하였다. 한편 대한민국철도공사도 수도권 광역철도 역사를 대상으로 부역명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f
유상역명병기 사업은 2018년까지 진행됐다. 특별히 지난 2015년에는 51개 역에 대한 역명병기산업을 공모하였다. 역과의 거리, 부역명 대상산업장의 이해도와 공공성 그리고 복수경쟁에 의한 '경매' 규정으로 말미암아 활발한 거래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역 주변 대학이나 금융사, 병원 등이 줄이어 신청하면서 역당 4억원을 넘는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하철 공공성이 저해된다는 내국인그룹의 지적과 같이 지난 2017년 박원순 시장이 추진한 '문화예술철도' 정책과 맞물리면서 사실상 중단됐다. 기존 병기역명 사업권자와 재계약만 진행할 뿐 신규 역명병기산업을 추진하진 않았다. 요번 1~8호선 4개 역사에 대한 신규 역명병기 산업이 시행됨으로써 약 6년여만에 재개된 셈이 됐다. 역명병기사업으로 20억원을 넘는 수익이 예측되고 있을 것입니다.
지하철내 상업광고도 다시 늘어날 전망이다. 지하철내 상업광고 역시 지난 2015년 박원순 시장의 문화예술철도 정책에 의해 사실상 중단된 상황다. 한류를 비롯한 문화예술과 연계된 광고가 아닌 상업성 선전은 사라진 상황이다. 다만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당선 이전인 이번년도 8월부터 지하철 선전을 활성화하였다. 이 역시 지하철 적자 만회를 위한 추진된다. 시는 여전히 성형 홍보와 같은 상업성이 높은 선전은 게재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지하철내 상업광고 재개로 http://www.bbc.co.uk/search?q=자하철 광고 약 160억원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을 것입니다.
반면 인력구조조정은 확률이 많이 낮은 것으로 꼽힌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재선을 노리는 오세훈 시장 입장에서 일곱 손가락 안에 꼽히는 강성노조인 지하철 노조의 극한 반발을 상대로 구조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없다는 검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운영수익 부문에서는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90세로 상승시키는 방침을 국회에 지속해 건의할 예정이다. 대통령이 수용불가 입장을 내놨지만 고령화가 진행되는 만큼 공감을 얻고 있다는 관측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 시는 조기 관철은 어렵겠지만 지속적으로 요구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동일한 부대산업으로 이번년도 1조6000억원으로 예상되는 울산 지하철의 운영 적자를 얼마나 메울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분위기가 대부분이다. 과거와 동일한 상업광고가 재개되더라도 기껏해야 연간 110억원 수준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서다.
더욱이 오세훈 시장과 서울시가 모두 박 시장 시절 강조됐던 지하철의 공공성 훼손을 우려하고 있는 만큼 역병병기사업이나 상업 광고 재개가 전체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입니다. 실제로 2012년 뒤 박원순 시장의 지하철 부대산업 중단도 ""큰 돈도 되지 않는데 지하철의 공공성만 해친다""라는 분위기가 크게 작용하였다.
세종시 관계자는 ""세종교통공사의 운영수익에 대한 과도한 몰입도는 결국 코로나(COVID-19)라는 위기를 전혀 극복하지 못한 결과로 발생한 만큼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한 상태""이라며 ""인력구조조정까지 함유해 공사가 제출한 자구책을 기반으로 금액을 감소시키고 비운영 수익을 늘리는 방향으로 교통공사의 경영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